Obsidian Dashboard Guide: MOC 제작 및 홈페이지 설정

Obsidian Dashboard Guide: MOC 제작 및 홈페이지 설정

오늘은 옵시디언(Obsidian)에서 대시보드를 만들어 홈페이지로 설정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대시보드, 혹은 MOC(Map of Content)는 노트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대시보드를 홈페이지로 설정하면 옵시디언 실행 시나 사용 중에 언제든지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Obsidian Dashboard Guide: MOC 제작 및 홈페이지 설정
Obsidian Dashboard Guide

옵시디언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단순히 노트를 작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복잡한 정보를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홈페이지로 설정된 대시보드는 그 시작점이자 중심점이 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제작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CSS 스니펫 적용하기

대시보드를 제작하려면 먼저 CSS 스니펫을 활용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대시보드의 시각적 구성을 돕습니다.

  • CSS 스니펫 폴더 설정: 옵시디언 설정 > 테마(외형) > CSS 스니펫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CSS 파일 추가: 준비된 dashboard.css 파일을 스니펫 폴더에 저장합니다.
  • CSS 활성화 확인: 설정된 스니펫을 활성화한 후 새 노트를 만들어 시각적 변경 사항을 확인합니다.

2. 대시보드 노트 작성

CSS 스니펫이 적용된 상태에서 대시보드를 작성합니다.

  • 카테고리와 섹션 구성: 노트 제목을 Home으로 설정하고 카테고리를 추가합니다.
  • 섹션 꾸미기: 이모지와 리스트를 활용해 섹션을 구성합니다. 예: :book: 현재 읽고 있는 책.
  • 다양한 카테고리 추가: 학습(코딩,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프로젝트 관리(기획, 촬영, 편집) 등.

3. 홈페이지로 설정

대시보드 노트를 홈페이지로 설정해 옵시디언의 첫 화면으로 활용합니다.


  • 커뮤니티 플러그인 설치: 설정 > 커뮤니티 플러그인 > Homepage 검색 및 설치.
  • 홈페이지 설정: 설치 후 옵션 메뉴에서 작성한 대시보드 노트를 선택.
  • 읽기 모드 지정: 디폴트 뷰를 읽기 모드로 설정해 대시보드를 깔끔하게 표시.

결론

옵시디언에서 대시보드를 제작하고 홈페이지로 설정하는 방법은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CSS 스니펫과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노트를 더욱 직관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 관리와 노트 정리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저도 대시보드를 홈페이지로 설정한 이후로 노트 관리가 한결 편리해졌습니다.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이 크게 증가했죠. 여러분도 오늘의 방법을 따라 나만의 대시보드를 만들어 보세요. 옵시디언을 사용하는 즐거움이 한층 더 커질 것입니다.


댓글 쓰기